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wt
- 웹팩 기본개념
- 항해99 부트캠프
- toggle-btn
- 리액트
- 항해99
- 리액트 메모이제이션
- v8 원리
- Js module
- 웹 크롤링
- js배열 알고리즘
- 리액트 렌더링 최적화
- 실행컨텍스트
- 함수형 프로그래밍 특징
- 항해99 사전스터디
- 알고리즘
- 리액트 메모
- JS module system
- 렌더링 최적화
- FP 특징
- 자바스크립트 엔진 v8
- 항해99 미니프로젝트
- next js
- 리덕스
- 코어자바스크립트
- 테스트 코드 툴 비교
- chromatic error
- gql restapi 차이
- this
- 타입스크립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3)
Jaeilit

Warning: React.jsx: type is invalid -- expected a string (for built-in components) or a class/function (for composite components) but got: object. @svg/webpack 으로 react compoent 로 svg 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jest testing 하려니까 이런 에러가 발생했다. 에러 내용은 import 를 잘못했다는 내용이다. 첫번째 시도 - 구글링 @icons/ 경로로 tsconfig 에서 path 를 매핑해서 쓰고있었는데 이게 문젠가 싶어서 jest config 에서 moduleNameMapper 부분을 여러번 수정해봤지만 이건 아니였다. tsconfig "paths": { ..

위키에서 소개하는 패러다임이란, 한 시대의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써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를 의미하는 개념이라고 한다. 위 글에서 "체계" 라는 말이 공통적으로 나온다. 즉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체계라고 볼 수 있다. 사실 패러다임이 어떤 사전적인 의미를 가지고있는지보다는 어떤 패러다임이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 패러다임의 종류 무수히 많은 패러다임이 존재하지만 웹 개발시 가장 중요시되는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선언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1. 명령형 프로그래밍(How)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어떻게에 집중한 프로그래밍으로 절차형 프로그래밍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있다. - 어떻게 하는지만 묘사하고 무엇을 해야하는지는..

어제 작업하고 푸쉬까지 했는데 오늘 다시 npm run dev 개발 서버를 열어보니 Error: connect ECONNREFUSED 127.0.0.1:3001 라는 에러가 발생했다. 소켓은 쓰지도 않는데 소켓이라..? 일단, 내용은 3001번 포트로 연결하지 못했다는 것인데 로컬은 3000번 포트를 쓰고 있는데 이게 무슨 일이람.. 문제 해결을 위해서 했던 방법들을 나열 해봤다. 1. ls -i :3000 으로 3000번 포트 찾아서 포트 죽여버리기 2. 브라우저에서 localhost 페이지에 쿠키/캐시를 다 날려버리기 3. rm -rf node_modules 로 패키지를 다 삭제하고 설치하기 결론적으로 이 3가지 방법으로도 해결하지 못했는데 사실 json-server 를 썻고 포트를 3001번으로 사..

문제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12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내 풀이 오답 내가 하려던 코드 객체에 key value 로 구매해야하는 과일 갯수를 담아두고 for문을 돌면서 객체에 프로퍼티가 있으면 -- 해줌으로써 모든 과일의 갯수가 0개가 되면 그 날이 정답이라고 생각했다. 2개 테케는 다 통과했으나 정답 제출하니깐 한개 빼고 다 틀렸다... 접근이 잘못된걸까? 정답코드 정답코드를 보면 slice 를 계속 해주는 모습인데 애초에 조건에 원소길이..

재조정 공식문서 재조정 (Reconciliation)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legacy.reactjs.org 이전글에서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을 살펴 봤습니다. 브라우저가 HTML 파싱하여 렌더트리를 구성하고 레이아웃을 계산하여 페인팅을 하는데 DOM 요소의 추가 또는 width height 같이 위치값 변경이 일어나면 Reflow가 일어나서 렌더트리를 재구성하게 됩니다. SPA 의 스택기반의 페이지들은 dom 요소의 변화가 빈번하기 때문에 Reflow 는 많은 연산을 요구함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입니다. 이는 성능과도 연결이 되므로 리플로우를 최소화하는 것이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됩니다. 재조정과 가상돔 처음에..

앞에 글에서 URL 을 입력했을 때 DNS 서버에서 IP 를 반환받아 해당 IP 주소의 서버에서 리소스를 받아오는 것까지 알아봤습니다. 받아온 리소스를 어떻게 브라우저에 렌더링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파싱 브라우저는 렌더링 엔진을 통해서 HTML 을 파싱하기 시작합니다. 파싱하던 중 Javascript 코드인 script 태그를 만나게 됩니다. script 태그를 만난 렌더링 엔진은 파싱을 일시중단하고 JS 리소스를 다운로드 하고, JS 를 파싱하기위해 제어권을 JS 엔진에게 넘깁니다. HTML 을 동기적으로 파싱하고 있었기 때문에 JS 엔진에게 넘긴 script 태그도 끝날때까지 기다려야합니다. 이 부분에서 지연이 발생할수있고 JS가 돔을 조작하는 이벤트를 가지고 있다면 scri..

제가 롯데자이언츠 야구 경기를 보고싶어서 평일 경기시간인 6시30분에 네이버 스포츠를 들어가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naver.com 에 접속하죠 이때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요? 1. DNS 조회 DNS 조회는 가지고 IP 주소를 받아오는 것을 말하는데요, 여기서 DNS 는 간단히 이야기하면 전화번호부나 노래방 번호 책 같은 겁니다. 저같은 90년대 초반 학생들은 학창시절에 포지션 i love you 를 6666 이라는 번호를 외웠죠,, 여기서 6666 이 인터넷으로 치면 ip, 포지션 i love you 가 DNS 가 됩니다. 다시, 우리는 네이버에 접속 할때 naver 의 ip 주소를 입력하지않고 www.naver.com 를 url 에 입력해서 바로 이동할수있는데요 여기서 naver.com 는 DNS ..

문제 링크 내 오답 function solution(k, t) { var answer = 0; let obj = {} t.forEach((i) => { obj[i] = ++obj[i] || 1 }) const oj = Object.entries(obj).sort((a,b) => b[1] -a[1]) let sum = 0 let count = 1 if(oj[0][1] >= k){ return 1 } for(let i=0; i

공식문서 내용 Routing: Linking and Navigating | Next.js Using App Router Features available in /app nextjs.org prefetch? 공식문서 설명을 보면 prefetch 은 페이지를 방문하기 전에 백그라운드에서 미리 로드하는 방법입니다. 미리 가져온 경로의 렌더링 결과는 라우터의 클라이언트 측 캐시에 추가됩니다. 클라이언측 캐시를 활용하여 변경되지 않는 세그먼트는 재사용하여 불필요한 작업을 방지합니다. router api 가 달라진점 useRouter() 를 'next/router' 에서 import 하여 router.push( { pathname : '/test/[id]', query : { id: id } } 와 같이 pathn..

웹 성능 MDN 인용문 웹 성능 | MDN 웹 성능은 객관적인 측정치이면서 로드 시간과 런타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사용자 경험입니다. 사이트가 로드되는 데 걸리는 시간, 로드 후 상호작용에 반응할 수 있게 되기 developer.mozilla.org 웹의 성능은 객관적인 측정치고 로드 시간과 런타임에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사용자 경험입니다. 로드에 관해서는 사이트의 로드시간, 로드되고나서 인터랙션이 가능하는데까지의 시간에 속하고 런타임에 대한 인식은 인터랙션이 얼마나 부드럽게 작동되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로드시간과 인터랙션 시간을 나눠볼수있습니다. SPA 를 다뤄보면 리액트에서는 초기에 text/html 파일로 빈 html 을 내려받고 UI + 인터랙션은 번들링 된 JS 가..